본문 바로가기

Lithuanian Language

리투아니아어 117_고기분쇄기 Mėsmalė

 

커피가는 고기분쇄기

 

그런 물건들이 있다. 딱히 실용적이지 않지만 버리기엔 무척 애매해진 것, 꺼낼 때마다 오래된 이웃들과의 기억을 소환하는 것, 카다시안들이 사용하지 않는 이상은 더 이상 생산되지 않을 것, 깊숙한 곳에 넣어두고 편리하게 잊는 것, 그 생애와 본적을 알고 싶어 절로 거꾸로 들어 밑바닥을 보게 하는 것, 한때는 모두에게 새로웠던 것, 대체 가능하다는 이유로 별안간 폄하되는 것, 잊으려고 마음먹으면 걷잡을 수 없이 소멸되는 것. 그게 뭐 물건에만 적용되는 이야기는 아니겠지만.
 
지난 크리스마스 휴가동안 파네베지에 있으면서 소련 시절의 오래된 고기분쇄기로 커피를 갈아 마셨다. 바닥에 쓰여진 대로라면 러시아어로 먀싸루프까Мясорувка, 리투아니아어로는 메스말레 Mėsmalė 라고 한다. 탁자에 고정시키고 손수 돌리는 수동 고기분쇄기의 대안이 되지 못하고 밀려버린 것. 이것으로 고기를 갈면 균일한 다짐육이 되지 못하고 필요 이상으로 짓이기고 뭉개져서 막상 고기는 잘 안 갈았다고 한다. 작은 분쇄칼을 추가로 끼우면 커피콩 같은 다른 것을 갈 수 있다.
 
언젠가 28 루블씩이나 했다는 이 소련 고기분쇄기를 비롯하여 레이스커튼, 격자무늬 키친타월과 침대시트, 녹슬지 않는 불멸의 치즈그레이터, 뚜껑에 와인 코르크를 끼운 다양한 크기의 법랑 냄비들은 리투아니아의 어느 집엘 가든 한두 개씩은 발견이 가능한 물건들이다. 언젠가 관광지의 소련 뱃지 옆에 한 자리 차지할지도 모르지만 여전히 기능한다는데 있어서는 현역이다. 

고기분쇄기하면 자동적으로 소설 노변의 피크닉의 마지막 챕터와 스탈케르 영화가 생각난다. 눈앞에 놓인 아슬아슬한 문장 한 줄을 은빛 거미줄을 제거하듯 걷어내고 뒤따르는 찜찜한 단어들은 전분가루처럼 뽀드득거리는 풀밭을 누르듯 밟고 지나친다. 또다시 구역에 진입한 인물들과 함께 목적지를 향해 나아가다 보면 그 우울감은 큰 파도가 되어 작가가 적어놓은 모든 단어들을 순식간에 집어삼킨다. 

사용하는 물건들이 어디나 비슷했던 소련 시절을 생각하면 실제 스투르가츠키 형제의 부엌에도 저런 고기분쇄기가 있지 않았을까. 집에 돌아온 지친 레드릭에게 구타가 끓여줬던 커피도 레드릭이 아르투르에게 구역에서 나눠줬던 커피도 그냥 이런 고기분쇄기를 통과한 평범한 콩들이었을것 같다.

영화 스탈케르의 첫 장면을 참 좋아한다. 주인공들이 하나둘 등장하는 모습이 마치 눈앞에 펼쳐진 연극 무대 같고 선채 먹었던 모스크바에서의 점심 식사도 떠오른다. 이 소설책을 서점에서 수령했던 4월의 어느 날은 비가 오고 축축했다. 아직 겨울에 머물러있는 옷들로 인해 비가 오니 좀 후덥지근했다. 비를 피해서 들어간 구시가의 카페 구석에는 저런 높은 테이블들이 몇 개 놓여있었다. 술과 커피를 함께 파는 흔치 않은 곳이다. 그래서인지 비 오는 날엔 영화 속 선술집 보르쉬치에 가서 커피든 코냑이든 한 잔 마시고 싶다. 그곳에 가득 들어찬 것들이 발버둥 치며 지리멸렬하는 삶이든 극복하고 성취하는 삶이든 적당히 퇴폐적인 행복을 누리고 평범한 일상으로 돌아가는 것에 안주하는 삶이든 그것이 우리 의지와는 상관없이 주어졌고 몸을 내던져 헤쳐나가고 감내해야 하는 것이라면 한편으론 동등하다. 나에겐 오히려 구역의 물건을 사서 다시 제자리로 돌려놓는 어느 취한 스탈케르가 현실적으로 가장 와닿는다. 그것은 어쩌면 대단한 기적을 바라지 않아도 되는 평범한 삶이 유지되고 있다는 것에 대한 비겁한 안도와 타협과 카타르시스일지도 모르겠다. 살아있음이 기적인데 사는 대로 생각하는 것에 대해 딱히 이견이 없다.

Сталке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