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ilm

<다른 나라에서> 홍상수 (2011)

 

 

<다른 나라에서>

 

이번에는 '모항 해수욕장'이 배경이다.

영화 시작부터 노골적으로 팬션간판을 보여주는데 이런 팬션도 협찬받은게 아닐까 그냥 혼자 생각중.

배우들이 하도 홍상수 영화는 노개런티라고 떠들고 다닌 영향도 있고 

설상가상 김상경이 무릎팍도사에서 소주도 자비로 샀다는 얘기를 한마당에

그래도 절에서 기와에 소원 적는거는 돈내고 했겠지 또 혼자 생각해본다.

그의 영화중에서는 그래도 서울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곳이 배경이구나 했는데

<잘 알지도 못하면서>는 제주도가 배경이었으니 그건 아니고 

아무리 소주에 삼겹살을 구워먹어도 외국배우가 출연을 해서인지 정서적으로 한국같지 않다는 느낌을 주었나보다.

한마디로 모항 해수욕장에서 올 로케로 촬영된 <다른 나라에서>이다.

이런 시나리오로는 샤를롯 갱스부르를 섭외했어도 성공하지 않았을까.

오롯이 '세명의 안느'를 연기하는 한 여배우를 위한 이런 영화.

물론 그녀의 외모는 너무 비현실적이니깐 별로 어울리지않고  줄리엣 비노쉬나 줄리델피 같은 배우도 있지만

아들 둘이 있는 엄마 역도 겸했어야하니 연령상 안맞고

여러모로 외모가 부각되었던 이런 배우들은 별로 적합하지 않았을지도 모르겠다.

심지어 이자벨 위뻬르는 별로 외국사람 같아 보이지도 않는다.

외국배우가 출연한다고 해서 방한한 외국배우가 연예프로그램에서 상황극하는 느낌이면 어쩌지 걱정했는데 괜한 걱정이었다.

홍상수가 조만간 기욤까네나 가엘 가르시아 베르날 같은 남자배우를 섭외해서 그에게 영화학과 초빙교수역을 주고

<다른 나라에서>트릴로지나 <옥희의 영화>2탄을 만들었으면 좋겠다고 또 혼자 상상한다.

 

홍상수가 약관의 나이에 만든 첫번째 영화였다면 이 영화는 선댄스에 출품했어도 잘 어울리지 않았을까?

다른 영화들처럼 '구경남'식 구구절절함없이 그냥 호스텔 밖으로 나와서 맞이하던 그들의 아침처럼 청신했다. 

속을 태울일도 찔릴일도 낯뜨거울일도 없이 그냥 솔직하고 가볍고 유쾌하고 귀엽다.

한번쯤은 다른 방식으로 소통하고 싶은 인간의 본능. 그들에게 왠지 한번쯤은 구원의 여지를 남겨둬야 하지 않을까.

하지 말아야 하는것에 대한 주관식 정답에 우리 모두가 익숙해져있을뿐

소주병을 바닷가에 버리는것도 외국여자와 뽀뽀하고 싶은것도 그것이 한국인이어서 그러는것은 아니다.

다른 나라에서도 강원도에서도 경주에서도 인간의 욕망이란 장소를 초월해서 돌고 돌뿐이지.

 

 

돈문제로 엄마와 함께 모항에 와있는 정유미는 남는 시간을 이용해서 짧은 시나리오를 쓰기로 한다.

팬션직원인 그녀에게 안느(이자벨 위뻬르)는 세개의 에피소드에서 매번 구경갈만 한 장소를 묻고는 등대를 찾아간다.

등대는 모항해수욕장의 명소이자 안느의 목적이며 그것없이는 소통 불가능한 안느의 언어이기도 하다.

어디 갈만한곳 있어요? 등대가 어디있어요?라는 그녀의 물음으로 모든 이야기가 시작되는것이다.

심지어 어쩔때 안느는 등대가 어디있는지 알면서도 굳이 물어보는것 같다.

안전요원은 등대를 묻는 안느에게 램프를 보여주며 이것이 등대라고 농담을 한다.

마지막 에피소드에서 안느와 안전요원이 텐트에서 잠을 잘때 램프가 켜져있는 장면에서 배꼽을 잡았다.

마치 안느가 그렇게 찾아헤매던 진짜 등대를 찾아낸것처럼

'이런 장면을 기다리신 거죠?'라듯 감독은 우리의 뒤통수를 친다.

 

세개의 독립된 스토리는 반복되는 등장인물들로 인해서 때로는 마치 하나의 이야기처럼 느껴진다.

세번째 에피소드에서 안느는 안전요원이 수영한것을 본적이 없지만

술을 마실때 안전요원이 등장하고 사라지자 윤여정에게 수영을 잘하냐고 묻는다.

안전요원을 보고 수영을 생각해낸것은 자연스러운것이지만 마치 안전요원을 이미 알고 있는듯한 느낌을 준다.

안느가 빌리는 우산도 그렇다. 우산을 빌리고 숨기고 잃어버리지만

마지막 이야기속에서는 다른 에피소드에서 숨겨둔 장소에서 마치 우연히 발견한듯 마냥 남의 우산을 꺼내 쓴다.

보는동안 끊임없이 상상할 수 있어서 즐겁다.

권해효도 문성근도 구경남의 연장선상에 있는것이고

<잘 알지도 못하면서>에서 목소리 출연만했던 문소리가 실제 구경남의 아이를 임신한채 껄떡되는 남편을 감시하는 느낌.

항상 누군가의 제자와 동창으로 나와 이리 치이고 저리 치이던 정유미는 마치 모두를 심판하듯 작가가 되어 나왔다.

 

 

아무것도 할 것 없는 낯선 바닷가 도시에서 안느는 어쨋든 자신의 여행을 만끽한다.

들판의 염소를 보고 큰 소리로 염소 목소리를 흉내낸다.

무료함을 이겨보려는 그녀의 노력은 누가봐도 사랑스럽다.

 여행가고 싶다.

낯선 장소에서 아침에 일어나 커피를 마시고 지도를 펼쳐들고 어떤 장소를 찾아가고 싶다.

지도나 가이드북이 없다면 실제로 안느처럼 호스텔 직원에게 갈만한곳을 묻게 된다.

유명한 관광도시가 아니라 그냥 무심코 들른 그런 작은 도시들이라면 말이다.

지나고보면 뚜렷한 목적없이 들러서 내가 여기 왜 있지 라는 생각이 들게끔 했던 도시들이 더 오래 기억에 남는다.

가끔은 비가 내려서 호스텔에서 우산을 빌려야 할 때도 진짜 있다.

그런 의미에서 안느에게 다음 여행에서는 접으면 손바닥만해지는 비닐우비를 지닐것을 권한다. ㅋㅋ.

 

 

임신한 아내는 술을 마실 수 없고 외국 여자는 자기보다 주량이 더 세다.

안느와 술마시는 수(문성근)는 어떤가.

문성근이 홍상수 영화에서 그렇게 술을 마셨어도 이정도로 얼굴이 뻘개져서 취한것을 본적이 없다.

심지어 그는 꿈속에서만 존재하는것처럼 보이고 키스하다가 안느에게 뺨까지 맞는다.

(이 장면은 심지어 문성근에 항상 치이던 정유미의 복수같다.)

몽블랑 아니면 아무것도 못쓴다는 소유욕 만빵의 스님은 또 왠일이냐.

다행히 안느의 무리한 요구에 순순히 만년필을 내놓았으니 스님으로서의 본분을 다했다고 하자. 

안느가 권해효의 이름을 종수대신 '종'이란고 부른것은

아마 외국 이름을 외우기 쉽지 않았을 여배우의 실수를 감독이 살린게 아닐까 넘겨짚어본다.

그러다가 문성근의 이름은 일부러 종수도 종도 아닌 '수'로 부르게 한거고

결국은 다 같은 사람으로 이해해도 될 것 같다.

 

 

'we have a thousand monkeys in our brain. they chattering all the time'

'우리 마음속이 시끄러운것은 머릿속에 수많은 원숭이들이 떠들어대고 있기때문'

바람피운 남편 생각으로 머리가 복잡한 안느를 절로 데려가는 민속학과 교수.

뭔가를 잊는데에 절하는것이 도움이 된다고 말한다.

그 절과 그 절이 동음이의어인것을 처음 알았다.

안느가 절을 나와서는 스님을 만나고 싶다고 말할때도 웃음이 터져나왔다.

김용옥이 스님으로 등장해서 팬션을 방문한다.

안느는 왜 자신이 거짓말을 하는지 왜 힘이 드는지 묻지만 이해할 수 없는 말장난 같은 대답만 돌아온다.

monkey 와 monk 도 그냥 우연인가.


<우리 선희> 리뷰 보러가기

<오!수정> 리뷰 보러가기

<밤과 낮> 리뷰 보러가기

<북촌방향> 리뷰 보러가기

<자유의 언덕> 리뷰 보러가기

<잘 알지도 못하면서> 리뷰 보러가기

<생활의 발견> 리뷰 보러가기

 






 

 

 

 

 

 

 

 

 

 

반응형